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재정칼럼] 돈(Money)과 주식투자

“그것은 단지 돈일 뿐입니다. 돈은 사람이 만든 것입니다. 돈은 그림이 있는 종이일 뿐이다. 그것을 위해 서로 죽일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돈은 아무런 잘못이 없습니다. 그리고 돈은 과거에도 오늘날도 변함이 없고 미래에도 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과거 주식시장 폭락으로 몸과 마음이 엉망진창 되지 않았습니까? 그리고 최근에 경험한 주식 폭망은 어떠하고요? 우리는 계속해서 같은 상황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을 도울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여러분과 저는 그것을 통제할 수도, 멈출 수도, 심지어 속도를 줄일 수도 없습니다. 우리는 그저 반응할 뿐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맞추면 많은 돈을 벌 수 있습니다. 반면 틀리게 되면 벼랑으로 떨어집니다. 언제나 승자와 패자가 같은 비율로 있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J.C. 캔더, 영화 ‘마진 콜’ 중에서    1989년 당시 미국은 부자 상위 1%가 전체 부(Wealth)의 23%를 소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상위 1%의 소유율이 32%까지 높아졌다. 그리고 34년 전엔 하위 90%가 전체 부의 40%를 소유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31%로 떨어졌다. 부자들은 점점 더 부자가 됐고 가난한 사람들을 더 가난해진 것이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어떠한가? 현재(2023년 1분기) 상위 1%가 전체 주식시장의 53%를 점유, 시장의 절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 이를 상위 10%로 확대하면 이들이 차지하고 있는 주식시장의 비율은 89%에 달한다. 부의 불균형이 극심해진 것이다.   한인이 사랑하는 부동산 소유는 어떠한가? 부동산은 상위 1%가 전체 부동산 시장의 14%만을 소유하고 있다. 반면 하위 90%가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이 56%나 된다. 부자들의 부는 대부분 주식에 있지만, 가난한 사람의 돈은 부동산에 몰려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부자 상위 10%는 개인 총자산의 70%를 가지고 있지만, 하위 90%는 미국 전체 부채(Liabilities)의 70%를 가지고 있다. 하위 90% 가지고 있는 빚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가난한 사람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돈을 좋아한다. 돈 때문에 울고 웃고를 반복한다. 필자 역시 지난 40년 돈에 관하여 이런저런 이야기를 많이 했다. 지난 40년을 산 세대는 ‘운이 억세게 좋았던 세대’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당시는 주택가격도 저렴하여 집주인이 되기 쉬웠고 대학에서 공부하며 일을 해서 학자금 마련도 할 수 있었다. 그 당시 텍사스 대학 15학점 등록에 필요한 학비는 단 250달러에 불과했다.  기숙사 비용은 학교에서 일한 수입으로 낼 수 있었다.   1983년 이후 현재까지 미국의 주식은 7930%, 채권은 1060%, 그리고 주택은 515% 상승했다. 연평균으로 환산하면 각각 11.4%, 6.2%, 그리고 4.6%가 된다. 금융 역사상 이렇게 높은 비율로 상승한 적이 없다.     투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주식에 60%, 채권에 40%로 구성된 투자를 1980부터 1999년까지 20년간 투자했어도 연평균 수익률은 14.5%다. 위험성이 훨씬 적은 채권에 40%나 투자했어도 거의 15%의 수익률이 나온 것이다. 1980년부터 2022년까지 60/40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 역시 9.7%다.     1987년 블랙먼데이 당시 주식시장은 하루 만에 20%가 폭락했다. 2000년의 기술주 폭락,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팬데믹으로도 폭락 경험을 했지만, 주식시장은 올랐다. 과거 주식시장을 보면 오르고 내림을 반복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결국에는 상승했다.  적은 금액일지라도 꾸준히 투자해 모두 안락한 은퇴 생활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주식투자 money 전체 주식시장 과거 주식시장 부동산 소유

2023-11-06

[J네트워크] 기시다 사이클

수줍게 웃는 얼굴, 그리고 손가락 브이(V). 샤부샤부 집에서 인증샷을 트위터에 올린 그는 이렇게 적었다. ‘소고기 돼지고기 뷔페 코스, 토요일과 일요일 60세 이상은 1인에 1759엔. 음료는 추가 할인으로 한 사람에 110엔. 여동생이 휴대폰 앱으로 총액서 10% 할인. 80분간 3명이 배부르게 먹고 총 5047엔. 5000엔 우대카드를 내고, 현금 47엔을 지불했어요.’   어른 셋이 먹고 정작 47엔(36센트)를 냈다고 자랑스럽게 쓴 트위터 주인은 전직 프로 장기 기사, 기리타니 히로토(桐谷?人·73). 2007년 은퇴 후 그는 유명 인사가 됐는데,  ‘주주우대’ 때문이었다. 일본은 상장사들이 주주우대란 명목으로 쌀·커피 같은 상품이나 할인·상품권 등을 주는데, 기리타니는 매일 주주우대권만 사용해 화제가 됐다. ‘연금에 의존하지 않고 풍족한 노년을 보내는 방법’이라며 쓴 그의 책도 인기를 끌었다.   동서고금 막론, 알뜰살뜰 살림살이를 불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지만 이방인의 눈엔 달리 보인다. 일본인은 주식에 투자해 주가 상승으로 수익을 얻기보다, 안정적인 주식을 사면서 덤으로 주는 ‘혜택’으로 노후 대비를 하고 있어서다.   왜일까. 여기엔 오랜 경기 침체가 있다. 일본 정부는 금리를 제로(0)로 낮춰 시장에 돈이 돌도록 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또 있다. 낡은 제도다. 일본은 100주 단위로만 주식투자를 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지갑 얇은 사회초년생에겐 투자는 그림의 떡이다. 유니클로 모회사인 패스트리테일링의 최근 주가는 약 8만엔. 유니클로 주식에 투자하는 데 최소 7600만원은 있어야 한단 얘기다.   돈맥경화의 일본 경제를 살려보겠다고 나선 건 금융맨 출신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다. ‘저축 대신 투자’를 외치고 나섰다. 지난해 주식시장 구조를 재편한 데 이어 최근엔 ‘임금 인상’까지 부르짖고 있다. 물가는 껑충 뛰었는데 ‘일본만’ 오랫동안 임금이 안 올랐으니, 월급을 올려 시장에 돈이 돌도록 하자는 취지다.     화답일까. 패스트리테일링은 전 직원 최대 40% 임금 인상을 선언했다. 변화가 더딘 일본에서 벌어진 파격이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 기사에 이런 문장이 등장했다. ‘올해 주가 상승 사이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닛케이는 과거 일본 주식시장 상승 사이클의 공통점이라며 이런 말도 보탰다. ‘위기 대응에 총리가 대담한 정책을 내놨다.’ ‘기시다 사이클’이 이뤄질지는 미지수지만, 그저 남의 나라 일로 보기엔 뼈아픈 말이지 않나. 김현예 / 도쿄 특파원J네트워크 사이클 지난해 주식시장 과거 주식시장 유니클로 주식

2023-01-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